눈을 깜박이거나 표정을 짓는 동작은 얼굴근육이 수축하거나 이완해서 일어납니다. 얼굴근육의 움직임을 담당하는 신경은 얼굴신경입니다. 얼굴신경은 뇌에서 출발해 얼굴뼈를 통과한 다음 얼굴근육에 연결됩니다. 오른쪽 얼굴신경은 오른쪽 얼굴 근육을 움직이고, 왼쪽 얼굴신경은 왼쪽 얼굴 근육을 움직입니다. 따라서 한쪽 얼굴신경에 손상이나 질병이 생기면 같은 쪽 얼굴이 마비됩니다. 얼굴마비가 생기면 한쪽 얼굴을 움직이지 못해 얼굴 모양이 비대칭이 되고, 표정 짓기나 눈감기가 어려워집니다. 보통 ‘입이 돌아갔다’, ‘입이 삐뚤어졌다’는 증상으로 병원을 찾게 됩니다. 그 외에 맛을 잘 못 느끼거나, 소리가 울리거나 크게 들릴 수도 있습니다.
얼굴마비는 중추성 얼굴마비와 말초성 얼굴마비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중추성 얼굴마비
중추성 얼굴마비는 뇌경색이나 뇌출혈 같은 뇌질환이 발생해 생깁니다. 뇌질환이 생기면 반대쪽 팔다리에 편마비가 오며, 얼굴도 반대쪽이 마비됩니다(오른쪽 뇌에 질병이 생기면 왼쪽 얼굴이 마비됨).
2) 말초성 얼굴마비
말초성 얼굴마비는 얼굴신경이 뇌에서 빠져나온 후에 이상이 발생해 생깁니다. 대표적인 질환이 벨마비입니다. 얼굴신경은 같은 쪽 얼굴 근육을 움직이므로, 예컨대 오른쪽 얼굴신경이 손상되면 오른쪽 얼굴에 마비가 생깁니다.
얼굴마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중추성 얼굴마비와 말초성 얼굴마비를 구별하는 것입니다. 중추성 얼굴마비는 뇌경색이나 뇌출혈 등 뇌질환이 원인이며 의식저하, 발음장애, 편마비 등 심각한 증상을 동반하거나 후유증을 남길 수 있기 때문에 빨리 확인하고 치료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중추성 얼굴마비와 말초성 얼굴마비를 구분하는 단서는 이마에 주름을 잡을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중추성 얼굴마비에서는 입은 심하게 돌아가도 눈감기와 이마 주름 잡기는 정상적으로 할 수 있는 반면, 말초성 얼굴마비에서는 눈감기와 이마에 주름잡기가 불가능합니다.
Q. 얼굴신경마비와 구안와사는 서로 다른 병인가요?A.얼굴신경마비와 구안와사는 비슷한 증상을 의미합니다. 구안와사는 입 구(口), 눈 안(眼), 입 비뚤어질 와(蝸), 기울 사(斜)로 이루어진 한자로서 눈과 입이 비뚤어졌다는 뜻입니다. 보통 한의학에서 구안와사는 한쪽 얼굴에 생긴 말초성 얼굴마비를 지칭합니다. 신경과에서 사용하는 얼굴신경마비라는 용어도 말초성 얼굴마비를 의미합니다. 하지만 얼굴신경마비라는 용어만으로 마비의 원인이 무엇인지는 알 수 없습니다. 얼굴마비의 원인까지 포함하는 병명으로는 벨마비, 람세이-헌트 증후군 등이 있습니다.
• 벨마비(Bell's palsy) : 특발성 안면 마비, 얼굴 근육을 일시적으로 제어할 수 없는 말초성 안면 마비의 유형
• 람세이-헌트 증후군(Ramsay Hunt's syndrome) : 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주원인이며, 귀통증, 미각상실, 홍반성 수포성 발진을 동반하는 말초성 안면 마비의 유형
Q. 얼굴마비도 뇌졸중의 일종인가요?A.얼굴마비는 대부분 말초성 얼굴마비이며, 뇌졸중과는 전혀 관련이 없습니다. 그러나 일부에서 뇌졸중으로 인해 얼굴마비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얼굴마비가 생기면 반드시 의사의 진찰을 받고 뇌질환이 아닌지 확인해야 합니다.
Q. 어떤 얼굴마비에서 뇌졸중을 의심해야 하나요?A.얼굴마비로 인해 입이 돌아갔지만 양쪽 이마에 주름을 잡을 수 있고 눈 감기가 자유로운 경우 뇌졸중을 의심해야 합니다. 또한 얼굴마비가 갑자기 생기면서 팔다리 마비나 감각이상, 음식을 삼키기 어려움, 심한 어지러움, 사물이 두 개로 보임, 중심을 잡기 어려운 증상 등이 동반되면 뇌졸중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Q. 찬바람을 맞거나 찬 곳에서 자고 나면 얼굴마비가 생기나요?A.그렇지 않습니다. 찬바람을 맞으면 얼굴마비가 발생한다는 과학적인 근거는 아직까지 없습니다.
Q. 얼굴마비가 있으면 반드시 뇌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을 촬영해야 하나요?A.그렇지 않습니다. 의사가 벨마비로 진단한 경우 뇌 MRI가 꼭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벨마비가 아닌 다른 질병이 의심되거나 치료 후에도 마비가 회복되지 않는 경우 뇌 MRI 검사가 필요합니다.
Q. 벨마비도 유전이 되나요?A.그렇지 않습니다.
Q. 얼굴마비도 재발하나요?A.2013년 조사에 따르면 환자의 7~8퍼센트 정도에서 얼굴마비가 재발할 수 있습니다.
Q. 얼굴마비는 어떤 진료과를 가야 하나요?A.말초성 얼굴마비는 신경과나 이비인후과를 가면 됩니다. 중추성 얼굴마비는 신경과나 신경외과를 가면 됩니다. 얼굴마비가 갑자기 생기면서 편마비, 발음장애, 언어장애 등의 증상이 같이 생기면 응급실 진료를 권합니다.
Q. 얼굴마비는 어떻게 치료하나요?A.얼굴마비는 여러가지 원인이 있고 원인별로 치료가 다릅니다. 따라서 얼굴마비가 생기면 먼저 의사에게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얼굴마비 중 가장 흔한 질환인 벨마비의 경우 스테로이드와 같은 약물치료를 주로 하게 됩니다.
1. 대한신경과학회 (2017). 신경학 3판. 서울:범문에듀케이션.
2. 김창형, 이동국 (2013). 한 대학병원에서 분석한 재발 벨마비 환자의 임상양상. 대한임상신경생리학회지, 15(1), 1-6.